Itsmesunky141 네트워크 기초 21.11.11 :네트워크 기초 리눅스는 최상위 유저를 CLI 환경에서 #으로 표시하고 일반유저를 $로 표시한다. ①네트워크 기초 활용하기 1.네트워크 개요 (1)Network란? :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수신자 또는 기기에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 ㄴ정보 전달 시, 약속한 규칙에 따라야 하는데 이를 프로토콜이라고 한다. (2)네트워크의 종류 1)WAN(Wide Area Network) :광대역 네트워크 :지역, 도시, 국가, 대륙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:회선 교환 방식 - 물리적 전용선을 활용, 정해진 데이터 전달 경로로 데이터를 전달. :패킷 교환 방식 - 패킷이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.수신하는것. 2)LAN(Local Area Network) :근거리 네트워크 2021. 11. 25. 생성자 21.11.25 :생성자 생성자의 특징 1. 리턴타입이 없는 ()로 사용한다. - 주소만 리턴된다. 2. 클래스 이름과 동일하다. ex)public class ObjectExample{ public ObjectExample(){} } 생성자의 역할 - 생성할때 쓰는 것. 꼭 필요. 기본 생성자 - 생략 가능하다. ┗생성할 때 아무 처리도 안하는 생성자 → 컴파일할때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서 호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. ┗다른 생성자가 있으면 자동으로 생기지 않는다. 초기화 블록 - 클래스가 생성될 때마다 무조건 실행되는 블록 {~~} static 초기화 블록- 클래스가 한번 불려지면 무조건 딱한번만 실행 static {~~} 초기화 블록의 목적 - 초기값을 셋팅하기 위해서 2021. 11. 25. 클래스와 접근제한자 21.11.24 :클래스 package ch06object; public class BoardVOBasicProcessExample { //변수와 method를 갖고 있다. //BoardProcessExample를 실행할 때 static으로 정의된 내용이 자동으로 올라간다. //BoardProcessExample이라는 class는 main method를 가지고 있다.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BoardVO를 사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생성을 해줘야 한다.(new, static) BoardVO vo = new BoardVO(); //게시판 정보 처리 vo.no = 10; vo.title = "java"; vo.content = "java jjang"; vo... 2021. 11. 24. 배열 21.11.23 :배열 //배열 처리문 //배열 선언(두가지 방법) int [] arr11; int arr12 []; //배열을 작업할 자리를 만든다. - 몇개로 만들지 정한다. arr11 = new int[10]; arr11[0] = 80; // 이 때 인덱스 번호는 9번까지 사용가능하다. //객체 출력 : 타입@해시코드값 System.out.println(arr11); //배열 객체가 가지고 있는 값을 확인 //for문 index사용 → Arrays.toString(배열) System.out.println(Arrays.toString(arr11)); //데이터를 이미 다 가지고 있는 경우 배열{100,80,90} int [] arr13 = new int[] {100,80,90}; //배열 생성을 하면.. 2021. 11. 23. While문 21.11.22 :while문 public class WhileKeyControlExample { // 자동차의 주행 프로그램. 1. 증속, 2. 감속, 3.중지(프로그램 종료)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Exception { // boolean 타입의 변수 run을 선언하고 초기값을 넣는 boolean run = true; // 반복처리의 기준 -> while(조건) : 조건이 만족하면(true) 계속 반복한다. // 차의 속도 - 0 ~ 최대 속도 int speed = 0; // 눌려진 키의 코드값 저장하는 변수 int keyCode = 0; int cnt = 0; // 차를 운행하기 위한 반복문 처리 -> true면 운행한다. // run이.. 2021. 11. 22. 이전 1 ··· 23 24 25 26 27 28 29 다음